🔍 1. 내재 변동성(IV)이란?
- 옵션 시장 참여자들이 예상하는 미래 변동성
- 주가가 얼마나 크게 오르내릴지에 대한 기대치를 반영
- 옵션 프리미엄 계산에 직접 포함됨
→ IV가 높으면 옵션 가격이 비싸짐, 낮으면 싸짐
📈 사례 1: 실적 발표 전 TSLA 콜 옵션 매수
상황:
- TSLA 현재가: $170
- 실적 발표 1일 전
- TSLA 180 콜 옵션 프리미엄: $8
- IV: 80%
기대:
- 실적이 잘 나오면 TSLA가 185까지 상승할 것으로 기대
- 그래서 콜 옵션을 $8에 매수
실제 결과:
- 실적 발표 후 TSLA 주가: 185로 상승
- 하지만 시장이 이미 변동성을 기대하고 IV가 높았기 때문에,
- 실적 발표 후 IV가 크게 하락 (IV Crush)
📉 콜 옵션 가격: 기대보다 덜 상승하거나 오히려 하락
💡 결론:
- 주가는 올라갔지만 IV 하락 때문에 옵션 가격이 크게 상승하지 않음 → 손해 or 기대 이하 수익
📉 사례 2: IV 하락 베팅 – IV 고점에서 콜 스프레드 매도
상황:
- SPX 최근 급등락 이후 VIX = 35 (매우 높은 수준)
- SPX 5,500/5,550 콜 스프레드 매도 → 프리미엄이 풍부
기대:
- SPX가 박스권에 들어가고 변동성이 자연스럽게 낮아질 것
- IV가 내려가면 옵션 프리미엄도 하락 → 포지션 수익 실현
실제 결과:
- SPX 변동성 줄어들며 VIX 30 이하로 하락
- 프리미엄 감소 → 포지션 수익 발생
✅ IV 하락이 옵션 매도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사례
🧠 핵심 정리
항목IV 상승 시IV 하락 시
옵션 가격 | 상승 (비싸짐) | 하락 (싸짐) |
롱 옵션 전략 | 유리 (옵션 가치 상승) | 불리 (IV 크러시 위험) |
숏 옵션 전략 | 불리 (손실 커짐) | 유리 (프리미엄 빠르게 감소) |
✅ 트레이딩 인사이트
전략 상황추천 전략 예시
IV 낮을 때 | 롱 옵션 (Straddle, Strangle, Long Call/Put) |
IV 높을 때 | 숏 옵션 (Iron Condor, Credit Spreads, Covered Call) |
이벤트 전 | 롱 옵션 가능성 + IV 관리 필요 (IV 크러시 대비) |
이벤트 후 | IV 하락 → 숏 옵션 전략 적기 |
사례로 이해하기
SPX ATM(Call) 옵션 프리미엄이 내재 변동성(IV)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입니다.
📊 해석 요약
- 가정:
- SPX 현재가 = 5,300
- 행사가 = 5,300 (ATM 콜 옵션)
- 만기 = 7일 (0DTE에서 벗어난 짧은 기간)
- IV 범위 = 10% ~ 60%
📈 핵심 포인트
IV (%)옵션 프리미엄 ($) 예시의미
10% | 약 $20 | 변동성 매우 낮을 때, 옵션 가격 저렴함 |
30% | 약 $65 | 현재 시장에서 자주 보이는 수준 |
60% | 약 $125 | 변동성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 (위기, 이벤트 전후) |
💡 트레이딩 인사이트
- 롱 옵션 전략:
- IV 낮을 때 매수 → 나중에 주가 변동 + IV 상승 시 이중 수익 가능
- 숏 옵션 전략:
- IV가 매우 높을 때 매도 → IV 하락 시 옵션 프리미엄 수축 → 수익
- IV 크러시 리스크:
- 이벤트 전 콜/풋 매수는 주가 방향 맞춰도 IV가 내려가면 옵션 프리미엄이 오히려 손실날 수 있음
'옵션지식과 기술적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격/시간/델타 기반 3중 모니터링 체크 리스트 사례: ES PUT DEBIT SPREAD (0) | 2025.04.25 |
---|---|
내재 변동성을 통한 가격 범위 추정 이해하기 (5) | 2025.04.24 |
0DTE SPX 콜 스프레드 매도 전략 비교: OTM vs ITM (0) | 2025.04.23 |
0 DTE? (0) | 2025.04.23 |
콘탱고란? (1) | 2025.04.21 |
댓글